◆ ... 건강정보

건강검진표 판독법

이사밸 2011. 11. 2. 15:03

건강검진표 판독법

 

건강진단평가의 주요 항목별 정상범위

혈압

120/80mmHg

(140/90mmHg 이상은 고혈압 )

체질량지수 (BMI)

18.5~22.9kg/m²

(몸무게 ÷(m로 환산한 키)²

허리둘레

90cm이하(35인치이하 남자 ) 85cm이하(33인치이하 여자)

체지방률

25%이하 (남자)   30%이하(여자)

요산도(PH)

4.5~8.0

총콜레스테롤

150~220mg/dl

중성지방

50~150mg/dl

고밀도 지단백(HDL)

30~80mg/dl

저밀도 지단백(LDL)

65~160mg/dl

공복혈당

70~100mg/dl

γ-GTP(감마지티피)

11~50IU/l

안압(높으면 녹내장의심)

10~21mmHg

 

LDL 중성지방 높으면 건강 빨간불

혈액속에는 고밀도 지단백(HDL)과 저밀도 지단백(LDL)  중성지방 (트리글리세라이드) 등 세가지 지방질이 있다. 이중 혈관벽에 기름때를 쌓이게 하는 주범은 LHL과 중성지방이다. LDL에 포함된 콜레스테롤을 세포내 영양소로 이용되지만 양이 너무 많으면 혈관벽에 축적돼 동맥경화증을 발전한다. HDL은 혈관에 축적된 콜레스테롤을 스펀지처럼 발아들여 간까지 운반해 분해시킨다. 따라서 LDL과 중성지방 수치는 적을수록, HDL은 많을수록 좋다

 

LDL 130mg/dl 이상  HDL 35mg/dl 이하면  동맥경화나 협심증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에 걸릴 위험이 현저히 높아진다.

 

중성지방은 g 9kcal의 높은 칼로리를 내기 때문에 꼭 필요하지만 지나치면 혈관에 쌓여 성인병을 일으키는 위험이 있다 물에 녹지 않는 중성지방은 우리 몸에 필요한 에너지원이지만 괴다 섭취 땐 대부분 피하지방으로 축적돼 뇌졸증 심장병 등의 죽상동맥경화증에 걸릴 위험이 높다 고기 생선 동물성 식물성 기름 등을 과잉섭취하면 수치기 올라가는 중성지방은 당뇨병 질환자의 경우에도 수치가 높다 이는 중성지방 생성을 억제하는 간 기능이 당뇨로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검사항목중

 

혈색소 (헤모글로빈)수치가 정상기준 (남자 13~16.5g/dl, 여자 12~15.5g/dl)보다 부족할 경우 빈혈 백혈병 관절염 등이 의심된다.

 

▣ 술 안먹는데 γ-GTP 높으면 대사증후군

감마지티피는 간 수치가 높거나 낮다고 할 때 사용하는 수치로 간질환 여부를 검사하는 중요한 지표중 하나다

 

남자는 11~63IU/l 여자는 8~35IU/l가 정상이며 이를 초과하면 알코올성 간염 또는 지방간염이 의심된다.

 

최근 감마치티피를 관찰하면 간 질환 외에 앞으로 비만 당뇨병 동맥경화증 등이 생길지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다. GGT가 정상범위 안이라도 높은 쪽에 있으면 미래에 이런 질병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감마지티피가 당뇨병 동맥경화증과 관계가 있다는 연구도 나왔다. 한림대성심병원 가정의학과 송홍지교수는

 

술을 많이 마시지 않는데 감마지티피 수치가 높다면 대사증후군 위험이 높다는 뜻이라며 체중조절 운동 금연이 반드시 필요하다

 

▣ 요당 요단백 요잠혈 검사란

 

요당뇨검사는 소변에서 당 검출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당뇨병 과도한 흥분 임신등이 원인이 된다.

 

요단백 검사는 소변에서 단백질 검출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다 신장염 고혈압 기립성 단백뇨가 원인이다,

 

요잠혈 검사는 소변에서 혈액 검출 여부를 확인해 헤모글로빈증 심부전 요로결석이 있는지를 본다. 과도한 음주나 피로 심장질환자들에게 자주 나타난다

 

PH검사는 소변의 산도측정으로 산성뇨는 임신 발열 생리가 주된 원인이며 알칼리요는 요로감염자들에게 주로 나타난다. PH 5.5~ 7.5PH가 정상이다.

 

요당 요단백 요잠혈은 건강한 사람의 경우 거의 음성반응이 나타나면 양성이면 담당의사와 상담을 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