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강정보

고혈압으로 인한 응급상황

이사밸 2012. 1. 9. 16:16

고혈압으로 인한 응급상황

고혈압이 조절되지 않는다거나, 신체 건강상태가 나빠지고 서서히 기관에 손상이 올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 지 잘 모릅니다.
고혈압으로 인해 응급처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를 고혈압성 응급상황이라고 합니다.
고혈압성 응급상황은 드물게 나타나고, 고위험군에서 혈압이 180/110mmHg이상으로 높게 올라가는 경우 잘 발생하고, 심각한 경고증상을 동반합니다.

 

고혈압성 응급상황의 적절한 치료는 무엇입니까?
자신의 기관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 당신의 혈압을 신속히, 그러나 서서히 낮 추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너무 급격히 혈압을 낮추는 것은 정상적인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여 뇌, 심장 등에 혈류공급의 부족으로 인하여 또다른 합병증에 의한 위험에 처할 수도 있습니다.
혈압이 갑자기 올라가는 것은 혈압약 복용을 갑자기 중단하거나, 부주의에 대한 신체의 반응입니다.
고혈압성 응급상황이라고 판단이 되면, 주치의를 방문하거나 가까운 응급실을 찾아야 합니다.

 

혈압 증가의 원인

  • 발작
  • 심장 마비
  • 심부전
  • 신부전
  • 동맥 파열
  • 혈압약과 다른 약물간의 상호작용
  • 자간증
고혈압성 위기의 경고 증상
  • 심각한 두통과 의식 혼미 또는 의식 저하를 동반
  • 심각한 가슴의 통증
  • 짧은 호흡 상태
  • 오심과 구토
  • 어지러움증
  • 시야혼미
  • 빈맥
  • 경련
  • 무반응/무의식

 

고혈압성 응급상황의 경고증상이 의심되는 경우, 빨리 119를 불러 가까운 병원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이 경우, 아무것도 먹거나 마시지 말고, 119의 도움을 받을 때까지 누워서 안정을 취하고 신속하게 병원으로 옮겨져야 합니다.

 

고혈압성 위기
적어도 3번의 혈압측정, 몇 분간의 간격을 두고 측정한 혈압이 180/110 mmHg이상일 때를 고혈압성 위기라고 합니다. 
이런 경우, 아무런 자각증상이 없더라도 병원에 가서 의사의 평가를 받아야 합니다.
고혈압성 위기 상황이 몇시간정도 방치된다면 고혈압성 응급상황으로 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고혈압성 응급상황의 합병증 및 치료
고혈압성 응급상황의 초기에는 동맥 혈관이 극도로 수축하여 크기가 작은 동맥부터 경화현상이 나타나고, 이는 방치된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뇌, 심장, 신장 등 신체 주요 장기의 기능이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손상 될 수 있습니다. 심전도, X-ray 검사 및 혈액검사, 이학적 검사 등의 결과로 뇌기능, 심장기능 및 신장기능의 상태를 평가하게 됩니다. 평가 결과에 따라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